![]() |
▲ AI기반 스마트농업데이터 수집·활용 서비스 시연회 |
[뉴스힘=박노신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9월 23일 오후, 경북 상주시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실증 온실에서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서비스에 대한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번 시연회는 AI를 활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지원을 통해 상용화가 됐거나 예정된 서비스를 실제 현장에서 구현해 봄으로써 기술 수준 및 해당 서비스의 현장 보급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하여 마련됐다. 행사에는 스마트농업에 관심 있는 청년 농업인 및 스마트팜 기업, 솔루션·농자재 업체, 재배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농식품부는 지역의 스마트팜 우수농가 및 스마트팜 혁신밸리,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 등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스마트농업 빅데이터 플랫폼에 연계하여 수집하고 이를 개방하고 있다. 아울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활용할 수 있도록 AI를 적용한 서비스에 대한 실증사업도 ’23년부터 적극 지원해 오고 있다.
시연장에서는 상용화를 앞둔 3D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에서 AI 학습을 통해 작물 생육 측정값을 추출하는 서비스, 온실 내부 레일을 따라 온실 전체를 예찰하는 자율주행 예찰 로봇, 작물 이미지에서 생육정보를 측정하는 서비스 및 농사정보 가이드 챗봇, 음성을 인식한 영농일지 자동 작성 및 LLM 기반 영농관리 챗봇, 카메라로 촬영된 수정벌의 수분활동 영상을 AI로 분석하고 LLM 기반 맞춤형 컨설팅 보고서를 제공하는 서비스 등 5개 서비스가 시연되어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시연 종료 후에 가진 참석자들과의 소통시간에는 데이터 수집, 데이터·AI 기반 서비스의 실증 및 보급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참석자들은 어떤 데이터들이 주로 수집되고 개방되는지, 데이터의 품질관리는 어떠한지 등에 관심을 보였다. 특히, 데이터·AI 기반 서비스에 대한 실증 및 보급 지원사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고, 농업인의 데이터·AI에 대한 이해도와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컨설팅 강화를 요청하기도 했다. 농식품부는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을 향후 정책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농업인과 기업 관계자들은 “AI 기술이 농업에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체감할 수 있는 유익한 자리였다”고 말했다.
김정욱 농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은 “농업의 AI 대전환을 위한 핵심 자원은 데이터”라며, “양질의 데이터를 제공하여 AI 기반 스마트농업 서비스 개발을 촉진하고 동시에 데이터의 공급·개방 과정에서도 AI 기술을 적극 접목할 필요가 있다. 농식품부는 데이터, AI, 농업기술이 선순환하는 농업 AX 생태계를 적극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뉴스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